배경: 2025.8.1일 식품안전국가표준 심사평가위원회는 30건의 식품안전국가표준 제수정 관련 의견수렴서안 (食标秘发〔2025〕5号)을 발표하고 오는 9월26일 까지 관련 의견 수렴예정이다.
상기 30건의 제수정을 하고자 하는 식품안전국가 표준중 신제정 표준 <식품안전국가표준 노년자 영양보충식품> 의견수렴고 요점을 식품화반넷은 하기와 같이 종합하였다.
<식품안전국가표준 노년자 영양보충식품> 제정 배경:
중국도 고령화가 지속적으로 심화됨에 따라(60세 이상 인구 2.8억 명 이상) 노년자를 대상으로 한 영양 및 건강 수요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동 의견수렴서한의 발표는 노년자를 목표 인구군으로 하는 영양보충식품 국가표준이 부재했던 공백을 메우고, 고령자 식품산업 발전의 지침 역할을 하게 될것임을 의미한다.
<식품안전국가표준 노년자 영양보충식품> 의견수렴서 요점:
1. 정의와 용어
노년자 영양보충식품이란 우유류, 유단백제품, 대두, 대두단백제품 중의 1종 혹은 1종 이상을 베이스로 하여, 비타민과 미네날 및 (혹은) 기타 식품원료를 첨가하여 노년자 영양수요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수선식식품을 가르킨다.
즉 노년자 영양보층식품은 특수선식식품으로 분류하여, 일반식품 보다 엄격한 식품안전과 영양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나, 보건식품 혹은 특수의료용도 식품 보다는 심사통과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 대상 인구군을 60세 및 그 이상 인구군으로 명확히 함으로써 제품 연구개발과 목표시장 확정에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였고, 제품 형태도 분말제, 액상제품, 영양바 등 섭취와 흡수에 편리한 제형을 선택할수 있도록 하였다.
2. 제품이 갖추어야 할 요건
① 원료
우질 단백질 함량이 20% 이상어야 하며, 대두류 및 그 제품은 고온 등 공정을 통해 항영양소(예: 트립신 억제물질)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며, 경화유지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 사용되는 모든 원료는 해당 안전표준 및 규정에 적합해야 하며, 식품첨가물과 영양강화제는 GB 2760과 GB 14880의 규정에 적합해야 한다.
② 필수 첨가 영양성분 10종과 그 첨가량을 규정
필수 첨가 영양성분 10종: 비타민 A,D,B1,B2,B12,C, 엽산 및 칼슐, 철, 아연
③ 첨가 권장 영양성분 13종과 그 첨가량을 규정하였으며, 기업은 제품 포지셔닝과 세분화 목표 소비자군에 따라 기타 성분 (예: 인지도 개선, 뼈 건강, 장 건강, 눈 건강 등)을 첨가할 수 있으나, 그 첨가량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첨가 권장 영양성분 13종: 비타민 E, K2, B6, 나이아신, 판토텐산, 콜린, 비오틴, 마그네슘, 셀레늄, 식이섬유, 루테인, EPA+DHA 등
④ 영양성분의 햠량범위는 영양소 섭취기준(RNI)의 30%~100% 범위안에서 최대치와 최소치를 설정하였다. 예를 들면 지용성 비타민은 장기 섭취시의 체내 누적 중독 리스크를 감안하여 RNI의 90%로 설정하고, 수용성 비타민은 RNI의 40%~200%로 설정하였으며,비타민D는 고령인구군의 핵심영양소로 그 상한을 25μg/d로 상향 조절하였다.(65세 이상 인구군의 비타민D의 RNI는 15μg/d 임).
⑤ 1일분 권장섭취량을 50g으로 명확히 설정하여, 모든 영양소를 상기 범위내에 농축해야해야 함으로, 처방설계와 공예(예 영양소의 안전성과 이용율)에 일정한 난이도를 부여하였다
3. 안전성과 품질관리
① 오염물질과 진균독수 제한량은 GB 2762과 GB 2761의 “보조식 영양보충품”의 제한량을 적용한다.
② 치병균은 GB 29921의 관련 규정을 적용하며, 균락총수와 대장균군 관련 규정은 의견수렴고에 별도 규정되어 있다
③ 활성균종을 사용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균락총수 관련 제한을 면제하며, 제품의 활균수도 명확히 규정하여 활균수와 안정성을 보장해야 한다.
4. 라벨표시
식품명칭은 반드시 “노년자 영양보충식품”으로 명기해야 하며, 또 “본제품은 일반 식사를 대체할수 없음”과 “본제품에는 다종 미량영양소를 첨가하여 기타 동유형의 제품과 동시 섭취시 사용량에 주의해야함”을 표시해야 함.
또 영양성분표는 일반 표시사항 외 반드시 100kJ의 함량을 표시하여 소비자가 열량밀도와 영양밀도를 비교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제품의 혁신과 업그레이드
기업은 필수 영양성분과 권장 영양성분의 프레임하에 과학적근거와 세분 인구군의 수요에 근거하여 차이화 혁신을 진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프로바이오틱스와 식이섬유를 결합하여 장건강을 강조하거나 루틴을 첨가하여 눈건강을 강조하는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