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연구에 의하면 HMB( β-하이드록시-β-메틸부티르산)는 류신(Leucine)의 인체 내 대사산물로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그 분해를 억제하는 기능성 성분이다. 다양한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나, 그 함량이 낮아 일상 식사만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식품에 CaHMB를 첨가하여 HMB를 보충하는 것은 근육량과 근력 유지 및 질소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고령자 및 근감소증( sarcopenia), 종양 등 질환 환자의 근육 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한다.
중국 사용 승인 상황
중국은 2011년 CaHMB를 신 자원식품으로 승인하고 운동영양식품과 특수의료용도식품에의 사용을 허용하였다.(< 엘레강스몰리스오일 등 2종 신 자원식품 승인 공고>2011년 제1호)
2017년 그 사용 범위를 음료, 유 및 유제품, 코코아제품, 초콜렛 및 초콜렛제품, 캔디, 베이커리 제품으로 확대하고 일 권장섭취량 상한치를 3g으로 규정하였다. (<시어버터 등 10종 신식품원료 관련 공고>2017년 제7호 공고)
2025년 일 권장섭취량 상한치를 3g에서 5g으로 상향 조절하였다. (<스테비아폴리페놀 등 20종 “3신식품” 관련 공고>2025년 제1호 공고)
중국 및 제외국 사용 현황
현재 EU, 미국, 일본, 싱가폴 등 해외 국가에서 그 사용을 승인 하였으며, 해외에서 사용한 역사가 길어 그 안전성이 검증된 원료이다.
해외에서는 2017년도 이미 운동원 식이보충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중국은 그 인입이 늦어 아직 성숙된 제품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2015년 <식품안전국가표준 운동영양식품통칙>이 발표되었으며, CaHMB를 속도역량류 운동영양식품에 첨가 권장 성분으로 열거하여 시장진입 기회를 획득하였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근감소증 등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CaHMB는 고령자 근육 기능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수술환자, 만성질병환자 등 환자용 식품에 첨가하여 이러한 환자의 회복과 영양지지에도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해외와 비교시, 현재 중국은 고령자와 환자등 특정 인구군용 제품에 사용된 사례가 없다. 기업은 식품안전성 확보와 감독요구를 준수하는 전제하에 관련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 공백을 채울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사점: CaHMB는 신흥 기능성 원료로서, 탁월한 생리학적 기능으로 그 사용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식품과 영양건강업계의 각광을 받고있다. 향후 고령자영양식품 및 특수의료용도식품 등 영역의 전망이 좋을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