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상반년, 국가 및 지방(성, 자치구, 직할시) 시장감독관리부문은 331,186롯드의 식품 및 관련 제품에 대하여 발췌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중 불합격 롯드수가 5,398건으로, 합격율이 98.37%에 달하였다.
1. 발췌검사 비율
식품 생산허가 심사세칙 및 2023년도 식품안전발췌검사 계획에 근거하여, 발췌검사 제품을 32개 유형으로 나누어 발췌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중 야채 및 관련 제품(13.17%), 량식 및 관련 제품(11.53%), 육 및 육제품(9.89%), 음식서비스업(8%), 과일 및 관련제품(7.11%)에 대한 발췌검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발췌검사 합격율
커피 및 커피 관련 제품, 전분당의 발췌검사 합격율이 가장 높아 100%였으며, 유및 유제품, 량식 및 관련 제품, 냉동 쌀밀가루 및 조리식품, 특수용도식품, 캔디와 쵸콜렛, 코코아 및 관련 제품의 합격율도 모두 99.7% 이상 이었다. 반면 야채 및 관련 제품, 음식서비스업, 수산물 및 관려제품, 식품관련 제품의 발췌검사 합격율은 97% 이하로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주요 불합격 원인 분석
주요 불합격 원인은 농약잔류량 기준치 초과 (1,711건), 질량지표 불적합(1,182건), 미생물지표 불적합 (1,110건), 식품첨가물 사용 불적합(842건),동물용 의약품 잔량 기준치 초과 (699건), 오염물질 제한량 기준치 초과(413건)등이 었다.
그중 대장균군 기준치 초과(7.39%), enrofloxacin 잔류량 기준치 초과 (7.08%), 음이온 합성 세첵제 잔량 기준치 초과 (6.46%),균락총수 기준치 초과(5.97%)관련 문제가 비교적 집중적으로 발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