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식품안전법> 제 74조중, 보건식품, 특수의학용도 조제식품과 영유아용 조제식품에 대하여 특수관리를 실시한다고 규정 되었다. 식품화반넷은 2023년도 상반년의 안전감독발췌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특수관리식품의 불합격 현황, 주요 불합격 항목, 고 리스크 인자 관리방법등을 분석 하였다.
1. 2023년 상반년 특수식품 발췌검사 현황
2023년도 상반년 국가와 지방 (성, 직할시, 자치구와 시급) 시장감독관리국은 총 7,649롯드의 특수식품에 대하여 발췌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중 7,631롯드가 합격, 18롯드가 불합격으로 판정되어, 발췌검사 합격율이 99.78%에 달하였다. 그중 보건식품 발췌건수는 5,101롯드, 불합격 롯드는 18건이며, 영유아조제식품의 발췌건수는 2,349롯드, 특수의료용도 조제식품의 발췌건수는 199롯드로 합격율이 100% 였다.
2. 주요 불합격 항목
18건의 불합격 보건식품의 불합격 원인은 질량지표 불합격(8롯드, 57.14%), 미생물 기준치 초과 (3롯드, 21.43%), 오염물질 잔량 기준치 초과 (2개 롯드, 14.29%), 식품첨가물 사용 불적합 (1건, 7.14%)등이 었다 .
3. 구체적인 불합격 요인
구체적인 불합격 요인은 면역 글로브린, 비타민A, 총 비소(As로 계산), 곰팡이균과 효모 및 수분 관련 항목 불 합격이 었다.
1) 비소
비소는 환경중에 널리 존재하는 오염물질로, 보건식품 생산기업은 원료 공급상의 원료 질량과 안전보장능력을 잘 심사하고, 원료 입고검사시 원료 중금속오염을 관리를 확실히 해야 한다. 또 생산과정에서 포장재, 용기를 통하여 비소오염이 발생되는지도 잘 체크해야 한다.
2) 곰팡이균과 효모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제품이 곰팡이균과 효모균에 오염될 경우, 제품의 색, 향, 맛을 파괴한다. 곰팡이균과 효모균 기준치 초과 주요 원인은 가공용 원료가 오염되거나 제품의 저장, 운송 과정 관리가 적절하지 않아, 유통단계 발췌검사에서 불합격으로 판정될수 있다.
3) 면역글로브린과 비타민 A
상술한 기능성분의 기준치 미달은 제품의 보건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미달의 주요 원인은 생산기업이 사용한 원료질량이 기준 미달이거나, 생산가공 과정에서 소모되었거나, 생산기업이 표준 배합비율에 따라 원료를 투입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