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수화물과 당
탄수화물이란 탄소, 수소, 산소 3종 원소로 조성된 화합물을 가르키며 그 축합도에 근거하여 당, 올리고당과 다당으로 나뉜다. 즉 당도 탄수화물의 1종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분류한다.
분류 | 아 유형 | 구체적인 물질명칭 |
당 (당분자가1~2개) | 단당 | 포도당, 갈락토오스, 과당 |
2당 | 자당, 유당, 맥아당, 해조당 | |
당알코올 | 솔비톨, 말티톨 | |
올리고당 (당분자가3~9개) | Isomaltooligosaccharides, IMO | 말토텍스트린 |
기타 올리고당 | 라피노우즈, 스타치오즈,프락토올리고당 | |
다당 (당분자≥10개) | 전분 |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변성전분 |
비 전분다당 | 셀룰로스, 헤미 셀루로스, 펙틴, 하이드로 콜로이드 |
2. 무당(无糖) 식품이란
GB/Z 21922-2008 <식품영양성분 기본용어>에 따르면 당이란 단당과 이당을 가르킨다. 즉 무당이란 단당과 이당을 포함하지 않은 식품을 가르키며, 무당식품에는 당알코올류, 오리고당과 다당을 함유할수 있다.
또 GB 28050-2011<식품안전국가표준 사전포자식품 영양라벨통칙> 부록 C.1에 따르면 무당표시의 요건은 단당 혹은 이당의 함량이 고체식품은 ≤0.5g/100g, 액체식품은 0.5g/100mL일 경우 “무당” 혹은 “당을 함유하지 않음”을 표시할수 있다.
3. “무자당(无蔗糖)” 혹은 “자당 제로 첨가(蔗糖零添加)” 표시
현재 시장에는 “무자당” 혹은 “자당 제로 첨가” 표시 식품이 다량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을 소비자들은 무당 제품으로 오해할수 있는데 실은 자당은 이당의 1종이며, “무자당” 혹은 “자당 제로 첨가”식품에는 기타 단당과 2당을 포함할수 있다.
4. “무자당” 혹은 “자당 제로 첨가” 표시 벌률근거:
1) GB 7718 4.1.4.2 식품라벨에 1종 혹은 다종의 원료 혹은 성분의 함량이 낮거나 함유하지 않음을 강조하자고 할 경우, 강조하고자 하는 원료 혹은 성분의 완제품중의 함량을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
2) 국가 시장감독관리총국 회신서한: 모종 원료에 대하여 미첨가 등 용어를 사용하여 수식하고자 할 경우, 생산과정에 해당 물질을 첨가해서는 안되며, 기타 원료에도 해당 물질을 함유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