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특수의학용도조제식품 (이하 특의식품이라 략칭함.) 등록심사허가제도 실시로 부터 7년이 경과 되었다. 2017~ 2023년 6월 30일 현까지 합계 120개의 특의식품 등록 (상기 데이터에는 특수식품조회플랫폼에 미 수록 7개 제품을 포함하며, 등록이 말소된 제품은 배제하였다.)되었다. 업계 관계자 여러분이 참조할수 있도록 식품화반넷은 현재까지의 등록 현황을 하기와 같이 종합 분석하였다.
1. 2017년~2023년 상반년 등록건수

2023년 상반년의 허가수량이 31건으로서, 2022년도 전년 허가수량을 초월했으며, 2019년 이후, 수입제품 주류에서 국산제품 주류로 변화되었다.
수입제품 30건은 네덜란드 9건, 영국 4건, 스페인, 스위스, 미국, 독일 각 3건, 싱가포르와 한국 각 2건, 아일랜드 1건 이다. 상기 수입제품은 주로 아베, 네슬레, Nutricia 등 다국적 유기업의 해외 생산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업계 집중도가 비교적 높다.
2. 제품 유형별 등록건수
상기 제품 유형별 등록건수로 부터 알수 있다 싶이, 특정 전영양조제식품 13개 유형중 종양 특정 전영양조제식품 외 기타 12개 유형은 현재 등록을 획득한 제품이 없다. 그 원인은 해당 제품이 인체적용시험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관련 영양소가 많아 처방이 복잡하며, 연구개발 단계 투입이 크다. 또 관련 제품이 병원에 투입되는 시스템이 불 명확한것도 그 원인의 하나이다.
3. 등록허가 제품 제형 분석
등록이 허가된 120건의 제품중 87건은 분말형 제품이며, 33건은 액상 제품으로 액상제품 비율이 27.5%였다. 2023년 상반년 등록이 허가된 31건의 제품중, 20건은 분말형 제품이며, 11건은 액상 제품으로 액상제품 비율이 상승 되었다.